✅ 주택수에 포함되지 않는 주택의 취득세 & 취득세율 정리
1️⃣ 분양권 / 입주권
항목취득세 여부세율
분양권 자체 | ❌ 없음 | - |
소유권 이전 시 (즉, 입주 시) | ✅ 부과됨 | 1~3% (주택 가격 따라) |
💡 참고 | 주택 수에는 기본적으로 포함되지 않음 (양도세 계산 제외) |
2️⃣ 오피스텔 (주거용이 아닌 경우)
항목취득세 여부세율
업무용 오피스텔 | ✅ 부과됨 | 4.6% |
주거용으로 사용 중이면? | ✅ 부과됨 | 1~3% (주택 취득세율) |
💡 참고 | 주거용으로 사용하면 주택수에 포함될 수 있음 |
3️⃣ 상속받은 주택 (일시적 보유 시)
항목취득세 여부세율
상속으로 받은 주택 | ✅ 부과됨 | 일반 취득세율 (1~3%) |
💡 참고 | 일정 조건 충족 시 주택수 제외 가능 (예: 공유지분 적을 때) | |
💡 상속은 감면 요건 있을 수 있어 별도 확인 필요 |
4️⃣ 지방 저가주택 (공시가 1억 이하)
항목취득세 여부세율
공시가 1억 이하 / 비조정지역 주택 | ✅ 부과됨 | 1% |
💡 참고 | 주택수는 제외될 수 있음 (일정 요건 충족 시) | |
💡 실거주 여부, 매입 시기 따라 예외 가능 |
5️⃣ 미등기 주택 / 무허가 건물
항목취득세 여부세율
형식상 주택 아님 | ❌ 원칙적으론 부과 안 됨 | - |
실제로 주거용 사용 시 | ✅ 추후 과세될 가능성 있음 | 세무조사 시 추징 위험 |
💡 참고 | 주택 수에는 일반적으로 포함 안 됨 |
✅ 기본 주택 취득세율 표 (1주택자 기준)
기준 시가세율
1억 원 이하 | 1% |
1억 초과 ~ 3억 이하 | 2% |
3억 초과 | 3% |
⚠️ 주의할 점
- 취득세는 주택 수와 별개로 부과됨
→ 주택 수에서 제외되더라도, 실제로 집을 "취득"하면 세금은 납부해야 함. - 조정대상지역 내 다주택자는 **중과세율 적용(8~12%)**이 될 수 있음.
- 실사용 용도(주거/비주거), 등기 여부, 지역 조건이 핵심이에요!
'5PM이 궁금한 잡다한 정보 서랍장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양도세, 양도세율 완벽정리와 비과세 조건 & 다주택자 중과세율 한눈에 확인! (0) | 2025.04.30 |
---|---|
1가구 2주택 양도세 비과세 요건 총정리! (2025년 최신판) (0) | 2025.04.28 |
주택수에 포함되지 않는 주택 총정리! 헷갈리는 기준 한번에 정리해드립니다 (2) | 2025.04.25 |
2025년 4월기준 높은 금리 제공하는 파킹통장 종류와 안전성 및 주의할 점 (0) | 2025.04.24 |
조정대상지역과 비조정대상지역에 따른 2주택자와 다주택자의 부동산 취득세율 비교, 2025년 4월 기준 조정대상지역 (8) | 2025.04.23 |